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의 정확한 개념과 정의
그리드플레이션 발생 원인과 경제적 영향
그리드플레이션 사례
매일경제를 보면서 경제 공부를 하고 있는데, 그리드플레이션이라는 말이 나오더라구요? 인플레이션은 들어봤는데 짧은 영어가 또 여기서 발목을.. 찾아보니까 기업이 욕심을 부려서 물가 올리는 그런 뜻이더라구요.
유럽에서는 시장에 직접 개입해서 그리드플레이션을 잡는 사례도 있더라구요. 버튼에 유럽의 국가별 대처방안을 설명한 유튜브 영상을 걸어놓을게요!
오늘은 그리드플레이션의 진짜 의미부터 발생 원인, 경제적 영향, 그리고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까지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릴게요. 요즘 만원으로 한 끼도 못 먹는데 또 물가상승 원인이 있다니 지겹다.. 지겨워..
그리드플레이션의 정확한 개념과 정의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은 탐욕(Greed)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인데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업들이 과도한 이익을 얻으려다가 물가 상승을 만들어낸다는 개념이에요.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상승같은 실제로 증가한 비용보다 그걸 핑계 삼아서 훨씬 더 많이 제품 가격을 올려서 발생하는 물가 상승을 의미해요.
배달할 때 음식 값을 다른 가격으로 받는 것도 그리드플레이션으로 볼 수 있다는 뉴스도 나왔어요. 몇몇 기업들 때문에 저희 식비가 늘어난다구요.
이중가격제 확산·그리드플레이션… 먹거리 물가 ‘비상’
대전에서 10년 가까이 유명 프랜차이즈 가게를 운영한 이모씨는 최근 배달 음식 가격을 매장 가격보다 올려 받고 있다. 매출은 늘지 않았는데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수수료는 오르면서 음식 가
www.segye.com
그리드플레이션의 경제적 영향
그리드플레이션은 아무래도 우리 경제와 생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는데요. 그리드플레이션만의 영향은 아니고 다른 원인의 인플레이션도 똑같아요. 특히 저같은 서민들은 생필품에 지출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그리드플레이션 영향을 더 크게 받게 되는데 아주 서터레스입니다.
- 구매력 감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 감소예요.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면 생활이 더 팍팍해지죠. 실질적 감봉이라고도 표현하더라구요.
- 소득 불평등 심화 : 소비자들은 높은 물가 때문에 소득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어요. 돈 많이 벌면 월급도 좀 올려주세요.
- 경제 성장 둔화: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면 소비가 위축되고 돈이 돌고 돌아야 되는데 결국 경제 성장이 둔화돼요.
- 정부 정책의 효과 감소: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해도 그리드플레이션은 정책으로 통제하기가 어려가서 정책이 힘을 못 써요. 이럴 때 중국 같았으면 확마..
그리드플레이션 발생 원인
그리드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볼 수 있어요. 생각나는 기업들도 적어보려 했는데 호옥시나 소송이 무서워서 은유법을 쓸게요. ㅋㅋㅋ 원인을 보니까 그냥 기업들이 이래저래 다양한 핑계를 대가면서 최대한 가격을 올리는 행위 같아요.
- 시장 지배력 : 일부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으면 해당 기업들이 가격을 맘대로 정할 수 있어서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더 많이, 더 자주 올릴 수 있어요. 매번 혁신을 외치는 그 기업이 생각나네요..
- 위기 상황의 악용: 팬데믹, 전쟁, 자연재해 등 위기 상황에서 가격을 인상하는 데 좋은 핑계가 돼요. 소비자들은 실제 비용을 정확히는 모르니까요.. 뭐 최근 전쟁도 있고.. 3년 전 백신도 있고.. 그렇겟네요.
- 정보 비대칭: 소비자들은 원가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서 원가 비용이 증가했다는 이유로 상품 가격을 원가분보다 많이 올리죠. 근데 원가가 내려도 이상하게 가격은 안내려가더라구요 ㅋㅋㅋ.. 제과업체들이 그랬죠..
- 주주 이익 우선주의: 단기적인 주가 상승과 주주 이익을 위해서 가격을 과도하게 인상하는 경우도 있대요. 우리나라는 잘 모르겠는데 미국은 그럴 수 있을 것 같아요.
최근 그리드플레이션 사례
최근에도 알게 모르게 그리드플레이션이 있었더라구요. 찾아놓고 보니까 맞아맞아 하게 되더라구요.분노 주의입니다.
- 식품 가격 상승 : 밀 같은 원자재가 상승해서 가격을 많이 올렸지만 원자재가격이 떨어져도 가격은 그대로예요.
- 항공권 가격 : 팬데믹 이후 여행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항공권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기름값 때문이라고 핑계를 대지만 실제 순이익이 많이 늘었다고 해요
- 주택 임대료: 많은 건물주들이 이자가 많이 올라서 임대료를 많이많이 올렸다가 이자가 내려도 임대료는 내리지 않는 것도 그리드플레이션의 사례로 볼 수 있어요.
원자재가 비싸져서 물건 가격을 올리는 건 좋은데 다시 원가가 싸지면 가격도 내리면 참 좋겠어요. 아니면 주가라도 오르든가..
'경험이 녹아있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비티 샴푸 가격, 종류, 후기, 판매처, 관련주 총정리! (0) | 2025.03.24 |
---|---|
상법 개정안 내용 요약 정리 (0) | 2025.03.20 |
이복현 금감원장, '직을 걸고' 상법 개정안 지지 선언 (0) | 2025.03.20 |
도시가스 절약캐시백 계산, 신청방법 총정리 | 회원가입만 하면 나도 받을 수 있나? (0) | 2025.03.20 |
바운스토큰 호재, 전망 | 지금 들어가도 될까? (0) | 2025.03.19 |
감액배당 뜻, 기업 확인 방법 | 비과세 100% 라구?? (0) | 2025.03.18 |
서울시 송파구 공영주차장 위치, 실시간 남은 자리, 할인, 정기권 총정리 | 경차가 짱이다. (0) | 2025.03.18 |
나는 솔로 25기 광수 개업의사 정체, 셀프 귀지 파는 유튜버?? (0) | 2025.03.15 |